제목 | K-Book 해외시장 진출현황 및 확대전략 연구 | ||
---|---|---|---|
분류 | 일반 | 등록기관 |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|
게재일 | 2020-11-18 00:00 | 조회 | 390 |
첨부파일 | |||
비고 |
해당 콘텐츠는
2020-11-17 15:02
에 정보를 수집하였습니다. 변경사항이 있는지 해당 콘텐츠를 직접 확인시기 바랍니다. |
K-Book 해외시장 진출현황 및 확대전략 연구
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은 국내 도서(K-Book)의 수출 현황 및 해외 진출 지원 사업 성과 등의 조사를 통하여 해외 진출 방안 및 확대 전략을 제안하고자 연구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.
- ㅇ 발간등록번호 : 11-B552916-000045-01
- ㅇ 보고서명 : K-Book 해외시장 진출현황 및 확대전략 연구
- ㅇ 보고서 목차
- 제1장 서론
- 제1절 연구 개요
- 1. 연구목적
- 2. 연구배경 및 필요성
-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
- 1. 연구내용
- 2. 연구방법
- 제1절 연구 개요
- 제2장 한류 콘텐츠 해외 진출
- 제1절 한류 문화콘텐츠 정부 부처 지원정책
- 1. 한류 문화콘텐츠 정부 부처 지원정책
- 2. 한류 문화콘텐츠 권역별 국가별 해외 진출
- 3. 한류 문화콘텐츠 분야별 해외 진출
- 제2절 K-Book 콘텐츠 해외 진출
- 1. K-Book 콘텐츠 저작권 수출
- 2. 단행본 출판물
- 3. 만화, 웹툰 콘텐츠
- 4. 전자책, 웹소설, 오디오북 콘텐츠
- 5. 교육출판물
- 제1절 한류 문화콘텐츠 정부 부처 지원정책
- 제3장 국내외 K-Book 콘텐츠 지원 및 현황
- 제1절 K-Book 정부 부처 산하기관 지원 현황
- 1. 한국문학번역원
- 2. 한국국제교류재단
- 3. 한식진흥원
- 4. 세종학당재단
- 제2절 K-Book 민간기관 지원 현황
- 1. 대산문화재단
- 2. 한국아시아우호재단
- 3. 대한출판문화협회
- 제3절 글로벌 K-Book Bookstore 운영 사례
- 1. 서울셀렉션
- 2. CUON, CHEKCCORI
- 3. 반디북US
- 4. Koryo Books Importing, INC
- 5. Helmur Hetzer, Korean Book Services
- 제4절 해외 자국어 지원 사례
- 1. 영국 브리티시 카운슬
- 2. 프랑스 알리앙스 프랑세즈
- 3. 독일 괴테 인스티튜트
- 4. 일본 국제교류기금
- 5. 중국 공자학원
- 제1절 K-Book 정부 부처 산하기관 지원 현황
- 제4장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해외지원 사업
- 제1절 K-Book 콘텐츠 해외 진출 지원의 법.제도
- 1. 출판문화산업의 국제교류 협력 및 수출시장 확대 지원
- 2. 출판문화산업진흥 5개년 계획의 해외 진출 지원
- 제2절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해외지원 사업
- 1.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사업 개요
- 2. 수출지원팀 세부사업 내용
- 제3절 주요사업 성과 분석
- 1. 찾아가는 도서전
- 2. 해외도서전 한국그림책 전시관
- 3. 출판콘텐츠 해외 수출 커뮤니티 운영
- 4. 해외도서전 한국관 운영
- 제1절 K-Book 콘텐츠 해외 진출 지원의 법.제도
- 제5장 K-Book 콘텐츠 해외시장 확대방안
- 제1절 국내 출판관계자의 K-Book 콘텐츠 해외 진출 인식
- 1. K-Book 저작권 수출 전 과정에 대한 분석
- 2. K-Book 콘텐츠 저자권 수출계약 진행 과정에 대한 분석
- 3. K-Book 콘텐츠 해외 출간 이후 과정에 대한 분석
- 4. K-Book 콘텐츠 저작권 수출 전반에 대한 분석
- 제2절 해외 출판관계자의 K-Book 콘텐츠 해외 진출 인식
- 1. K-Book 저작권 수입 전 과정에 대한 분석
- 2. K-Book 콘텐츠 저자권 수입계약 진행 과정에 대한 분석
- 3. K-Book 콘텐츠 자국 현지 번역 이후 과정에 대한 분석
- 4. K-Book 콘텐츠 저작물 수입 전반에 대한 분석
- 제1절 국내 출판관계자의 K-Book 콘텐츠 해외 진출 인식
- 제6장 K-Book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 및 제언
- 제1절 K-Book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
- 1. 한류 문화콘텐츠 해외 진출
- 2. K-Book 콘텐츠 해외 진출
- 3. K-Book Bookstre 활성화
- 4. K-Book 콘텐츠 국내 출판관계자 심층 인터뷰 시사점
- 5. K-Book 콘텐츠 확대를 위한 해외 출판관계자 심층 인터뷰 시사점
- 제2절 K-Book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
- 1. K-Book 통합 플랫폼 활성화 방안
- 2. K-Book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기반구축 강화
- 3. K-Book 콘텐츠 시장 확대를 위한 민관협업 전략
- 제3절 K-Book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과제
- 1. 글로벌 <한국아동도서전>으로 아시아 시장을 확대
- 2. 한국문학 번역상 지원사업 추진
- 3. 완제품 K-Book 콘텐츠 수출현황 실태조사 필요
- 4. 수출지원 인센티브 제도 시행
- 5. 수출지원팀
로 확대 필요
- 제1절 K-Book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
- 제1장 서론
* 관련 문의 : 수출지원팀 063-219-2762